서경배과학재단, 2023년 신진 과학자 4명 선정

도전적인 연구 제안 신진 과학자 선정 및 후원

CMN뉴스팀 기자 [기사입력 : 2023-08-29 09:57:39]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CMN] 서경배과학재단(이사장 서경배)은 올해부터 5년 간 연구를 지원할 2023년 신진 과학자 네 명을 선정, 발표했다.

서경배과학재단은 아모레퍼시픽그룹 서경배 회장이 2016년 사재 3천억 원을 출연해 설립한 공익 재단이다. ‘눈으로 보이는 하늘 밖에도 무궁무진한 하늘이 있다’는 ‘천외유천(天外有天)’을 기조로, 매년 생명과학 분야의 신진 생명과학자를 지원해 다음 세대가 살아갈 새로운 세상을 준비하고 있다.

재단은 2017년부터 올해까지 크고 도전적인 연구를 제안한 신진 과학자를 26명 선정했다. 선정된 신진 과학자는 5년 간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하게 된다. 재단은 연구자 한 사람당 연 최대 5억 원의 연구비를 지급하며 신진과학자의 도전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재단 설립 이래 현재까지 신진 과학자의 연구 지원에 쓰인 금액은 702억 원이다.

2023년 서경배과학재단이 최종 선정한 신진 과학자는 ▲‘SMC 단백질의 상분리 현상도 염색체 구조 형성의 기본 원리일까?’를 제안한 류제경 교수(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상황 변화에 따른 유연한 정보처리의 신경 기전 규명:분자생물학 및 신경망 신경 과학과 수학적 분석의 통합적 접근’을 제안한 박정환 교수(서울대학교 의과학과) ▲‘조직 특이적 암 형성 과정의 근본 원리 규명’을 제안한 염민규 교수(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뇌에서 비전형적인 CD8+ T 세포의 역할 연구’를 제안한 임영신 교수(미국 펜실베이니아 의과대학), 총 4명이다.

류제경 교수<사진 위 왼쪽>는 염색체 구조 유지(Structural Maintenance of Chromosome, SMC) 단백질 군의 보편적인 작동 기작을 연구한다. SMC 단백질군은 한 세포에 2미터가 넘는 DNA를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염색체로 정교하게 응축시키는 핵심 단백질군으로, 중요한 생명 현상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류제경 교수는 고속 원자힘 현미경, 단분자 이미징 기법 등을 통해 다양한 생물 군에서 SMC 단백질의 보편적인 원리 기작을 밝혀내려 한다.

박정환 교수<사진 위 오른쪽>는 상황이 변할 때 대처하는 능력인 ‘인지적 유연성’이 뇌에서 어떤 작용으로 일어나는지 다양한 층위에서 알아낸다. 새로운 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신경 회로가 어떻게 변하는지 뇌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한 수학적 모델과 동물 행동실험으로 검증하고, 이 과정에 관여하는 후보물질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검증한다.

염민규 교수<사진 아래 왼쪽>는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상태 변화를 순차적으로 유전체에 기록하고, 변화하는 세포의 주변 환경을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기술을 제안했다. 개발한 신기술을 암 발생 과정에 적용해 정상 세포가 암이 되는 과정에서 세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적하고 암이 일어나는 근본 원인을 찾는다.

임영신 교수<사진 아래 오른쪽>는 뇌에서 발견한 면역 세포의 역할을 연구한다. 뇌와 혈관 사이에는 혈뇌 장벽이 있어 몸을 순환하는 면역 세포가 들어갈 수 없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임영신 교수는 혈뇌 장벽이 생기기 전 단계에 면역 세포가 뇌로 이주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뇌에 정착한 면역 세포가 혈액 속 면역 세포와는 달리 신경 발생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입증하고자 한다.
Copyright ⓒ cmn.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인기기사

뉴스레터뉴스레터구독신청

제휴사 cbo kantarworldpanel kieco
img img
스크린뷰광고 이미지